삼성 이건희 회장 복귀, 어떻게 봐야 하나 (2010. 03. 24. 수) (김미화의 세계는 그리고 우리는, 2010. 03. 24. 수) 삼성 이건희 회장 복귀, 어떻게 봐야 하나 ① 한국방송통신대 경제학과 김기원 교수 ② 대한상공회의소 기업정책팀 이경상 팀장 ☎ 김미화 / 진행 : 경영권 승계하고 비자금 문제로 지난 2008년 4월 삼성그룹 전략기획실을 해체하고 경영쇄신안을 발표하.. 신문잡지 기고 2011.02.23
진보와 개혁의 정치경제학 <창비주간논평> 2010. 1. 10. 진보와 개혁의 정치경제학 김기원 / 방송통신대 경제학과 교수 요즘 야권과 시민사회의 화두는 ‘연대’다. 4분 5열되어 있는 진보개혁진영에서 연대의 분위기가 이처럼 고조된 적은 별로 없었다. 6월 지방선거를 통해 이명박정권의 폭주를 막아보려는 노력의 표현인 셈이다. 김대중-노무현정권이나 .. 신문잡지 기고 2011.02.23
다시 "김문수 대 김상곤" (한겨레 2009. 11. 2) 다시 “김문수 대 김상곤” 김 기 원 (방송대 경제학과 교수) <한겨레> 10월 21치의 필자 글 ‘김문수 대 김상곤’에 대해 이재진 한나라당 경기도의원이 26일치에서 반론을 제기해왔다. 걸핏하면 소송하고 잡아가는 요즘 판에 글로 대응해주니 고마운 일이다. 또한 이런 논쟁을 통해 국민들의 관심.. 신문잡지 기고 2011.02.23
김문수 대 김상곤 (한겨레 2009. 10. 21) 김문수 대 김상곤 김 기 원 (방송대 경제학과 교수) 경기도의 김문수지사와 김상곤교육감 사이에 갈등이 끊이질 않는다. 교육감의 무상급식 예산을 도의회가 잘라버린 일에 지사가 동조했고, 교육자치를 훼손하는 조처라고 교육계가 반대했는데도 지사가 도청에 교육국을 설치했다. 도가 교육청에 줘.. 신문잡지 기고 2011.02.23
법학과 인권연극을 보고 (방송대 학보 2009. 10. 19) 법학과 인권연극을 보고 김기원 (경제학과 교수) 지난 9월 29일 본교 법학과 학생들의 인권 연극 “진실을 외쳐라”를 관람했다. 대학로라는 연극동네에서 생활한 지 오래 됐으나 서울 사람이 남산타워 안 가보듯 연극 관람은 참으로 드문 일이었다. 그래서 연극 관람석에 앉는 게 좀 어색하기도 했고, .. 신문잡지 기고 2011.02.23
쌍용차 사태와 덴마크 모델 <창비 주간논평> 2009. 8. 12 쌍용차 사태와 덴마크 모델 김 기 원 (방송통신대 경제학과 교수) 쌍용차사태가 큰 불상사 없이 일단락됐다. 불행 중 다행이다. 하지만 일단 파탄 났던 회사가 쉽게 회생할 수 있을지 걱정이다. 희망을 가지려면 내부구성원이 열과 성을 모으고 시장상황이나 채권단태도 등의 외부환경도 나아져야 하.. 신문잡지 기고 2011.02.23
개혁좌파와 개혁우파의 합작을 <한겨레 신문 2009. 3. 26> 개혁좌파와 개혁우파의 합작을 김 기 원 (방송대 경제학과 교수) 나라가 어렵다. 경제는 위기에 빠졌고, 민주주의가 후퇴했으며, 남북한 관계도 험악해지고 있다. 대통령 한번 잘못 뽑으니 만사가 엉망인 셈이다. 국민 다수가 선택한 길이니 어디 하소연할 데도 없다. 역사란 게 잘 닦인 고속도로를 질.. 신문잡지 기고 2011.02.23
갈림길에 선 이재용전무 <한겨레 2009. 2.26> 갈림길에 선 이재용전무 김 기 원 (방송대 교수, 경제학) 삼성의 이재용전무가 이혼했다. 한국인구 천 명당 이혼건수가 1980년의 0.6에서 2007년의 2.5로 급증하기는 했으나 재벌가문끼리의 결혼이 파탄난 경우는 찾기 힘들다. 그들의 결혼생활이 다 행복할 리 없지만 이혼으로 잃는 게 많았기 때문이리라... 신문잡지 기고 2011.02.23
나훈아를 본받자 <한겨레 2009/ 1/ 29> 나훈아를 본받자 김 기 원 (방송대 교수, 경제학) 삼성이 경영진 인사를 발표했다. ‘제2, 제3의 김용철’이 나타날까봐 미뤄오던 일을 이제야 실시한 셈이다. 나라경제가 어려운 만큼 삼성이 이번 인사를 계기로 제대로 중심을 잡아줬으면 하는 바람이다. 그러나 전망이 그렇게 밝지는 않다. 삼성총수.. 신문잡지 기고 2011.02.23
시장과 국가, 양과 질 <한겨레 2009/ 1/ 7> 시장과 국가, 양과 질 김기원 (방송대 교수, 경제학) 세계 금융위기로 시장만능주의가 몰락했다. 시장만능주의의 본산인 미국에서조차 정책당국과 학자들로부터 버림받은 처지다. 물론 시장만능주의라 하더라도 모든 걸 시장에 맡겼던 건 아니고 국가도 나름대로 경제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다.. 신문잡지 기고 2011.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