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를린 통신 (41) : <여성의 공익근무는 어떤가> 등 베를린 통신 (41) : <여성의 공익근무는 어떤가> 등 (1) 생략 (2) 베를린에 있으니 저희 학교 소식은 잘 모르고 지내왔습니다. 그런데 며칠 전 교육부가 저희 학교 총장 임명을 거부했다는 보도에 우연히 접하게 되었습니다. 그 며칠 후에 총장후보 1순위로 뽑힌 교수가 전체교직원에게 .. 베를린 통신 2014.10.12
베를린 통신 (40) : <성공할 정치인의 자질>, <황제경영의 허와 실>, <장하성과 안철수> 베를린 통신 (40) : <성공할 정치인의 자질>, <황제경영의 허와 실>, <장하성과 안철수> 그동안 페이스북에 썼던 글 몇 개를 소개합니다. 여기에 소개하는 글들은 "허핑턴포스트코리아"에도 동시에 실린 바 있습니다. 1) 성공할 정치인의 자질 : 박영선의 사퇴를 보며 (10월 2일) .. 베를린 통신 2014.10.03
베를린 통신 (39) : 진보, 보수, 중도 (2) - 진보와 보수, 상식과 몰상식 베를린 통신 (39) : 진보, 보수, 중도 (2) - 진보와 보수, 상식과 몰상식 개념 정립의 필요성 정치를 하면 무얼 먼저 하겠느냐는 제자의 질문에, 공자는 “반드시 이름을 바로잡겠다. (…) 이름이 바르지 않으면 말이 순조롭지 않으며, 말이 순조롭지 않으면 일이 이루어지지 않는다(必也正名.. 베를린 통신 2014.09.16
베를린 통신 (38) : "싸가지 없는 진보"의 자기반성 <"싸가지 없는 진보"의 자기 반성> 강준만 교수가 <싸가지 없는 진보>라는 책을 출간했습니다. 다들 잘 알다시피 강교수는 100권 가까운 많은 저서를 출간했고, 특히 <김대중 죽이기>, <노무현과 국민사기극>을 통해 한국 선거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친 논객입니다. 다만 그.. 베를린 통신 2014.09.02
베를린 통신 (37) : 가난하지만 섹시한 베를린 - 베를린 시장의 사퇴 <베를린 통신 (37) : 가난하지만 섹시한 베를린 - 베를린 시장의 사퇴> 어제(8월 26일) 클라우스 보베라이트(Klaus Wowereit) 베를린 시장이 전격적으로 사퇴를 발표했습니다. 다만 당장 그만두는 것은 아니고 12월 11일에 사퇴하는데, 아마도 그 사이에 그의 소속정당인 사민당(SPD)에서 새로.. 베를린 통신 2014.08.28
베를린 통신 (36) : 진보, 보수, 중도 (1) - 걸인이 살아가는 법 베를린 통신 (36) : 진보, 보수, 중도 (1) - 걸인이 살아가는 법 얼마 전부터 독일 남부의 뮌헨에서는 구걸 행위에 대한 일정한 규제가 시행되고 있습니다. ‘공격적 구걸’과 ‘집단 구걸’이 금지된 것입니다. 이걸 위반하는 경우엔 최장 4주까지의 구금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아.. 베를린 통신 2014.08.24
베를린 통신 (35) : <이제 "징병제 폐지"를 논할 때가 아닌가> 등등 최근에 페이스북에 올린 글 몇 개를 아래에 소개합니다. 1. <이제 "징병제 폐지"를 논할 때가 아닌가> : 8월 6일 윤일병에 대한 학대와 폭행사망으로 나라가 떠들썩하고 육군참모총장까지 옷을 벗었습니다. 군대가 인권의 사각지대라는 것은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이지만, 이번 사태로 한.. 베를린 통신 2014.08.06
베를린 통신 (34) : 신호등꼬마와 동독향수병 베를린 통신 (34) : 신호등꼬마와 동독향수병 며칠 전에는 베를린 시의회 의원이 교통신호등(Ampel)을 바꾸자는 주장을 펼쳤습니다. 베를린의 보행자 신호등은 아래와 같이 ‘파란 불’일 때는 남자 모습니다. 이건 일종의 여성차별이니 치마 입고 머리띠 땋은 여자 모습이 등장하는 신호등.. 베를린 통신 2014.07.13
베를린 통신 (33) : 동독 엘리트와 북한 엘리트 베를린 통신 (33) : 동독 엘리트와 북한 엘리트 지난달에는 동독정권 말기의 수상을 역임했던 모드로프(Hans Modrow)를 면담했습니다. 아래 사진에서 보듯이 86세의 고령임에도 정정했고 눈빛도 날카로웠습니다. 특히 동독 말기를 회상할 때는 날짜까지 일일이 밝히는 놀라운 기억력까지 보여.. 베를린 통신 2014.07.06
베를린 통신 (31) : <조희연 당선자의 '일류'대학 발언> 등 지난 며칠 동안 페이스북에 쓴 글을 모아 보았습니다. 가장 최근 것부터 세 글을 실었습니다 1) <조희연 당선자의 "일류"대학 발언에 대한 우려 : 정체성의 문제> (6월 5일) 조희연 당선자 등 이른바 진보교육감들의 대거 당선을 축하합니다. 이번 선거에 대해서 불만을 가진 분들도 많.. 베를린 통신 2014.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