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530

신정아씨의 억울함과 우리 사회의 치사함 (1)

신정아씨의 책 <4001>을 독파했다. 한마디로 충격적이다. 첫째로, 본인이 신씨에 대해 갖고 있던 피상적인 인식에 대한 반성이 밀려들었다. 얼마 전 경제문제에 관한 장하준 교수의 피상적인 사고를 비판하는 글을 쓴 적이 있었는데, 나 역시 신씨에 대해선 피상적인 판단을 하고 있었던 셈이다. (다..

장하준 논리의 비판적 해부 <창비 주간논평> 2011. 1. 26

&lt;창비 주간논평&gt; 2011. 1. 26 장하준 논리의 비판적 해부 김기원(방송통신대 경제학과) 장하준 교수의 책『그들이 말하지 않는 23가지』가 선풍적 인기를 끌고 있다. 재미가 있고 문체도 경쾌하다. 그리고 이 책의 내용 중엔 필자 역시 동감하는 부분이 적지 않다. 우선 시장만능주의의 폐해에 대한 지..

신문잡지 기고 2011.02.23

삼성과 학계의 불륜을 끊자 <창비 주간논평> 2010. 6.16

&lt;창비 주간논평&gt; 2010. 6.16 삼성과 학계의 불륜을 끊자 김 기 원 (방송통신대 경제학과 교수) 지방선거가 한나라당의 참패로 끝났다. 숨통이 조금 트이는 느낌이 들기는 한다. 하지만 그렇다고 강부자 경제, 민주주의 후퇴, 남북한관계 악화라는 정책기조가 청산될지는 의문이다. 촛불시위 때 진정으..

신문잡지 기고 2011.02.23

삼성 이건희 회장 복귀, 어떻게 봐야 하나 (2010. 03. 24. 수)

(김미화의 세계는 그리고 우리는, 2010. 03. 24. 수) 삼성 이건희 회장 복귀, 어떻게 봐야 하나 ① 한국방송통신대 경제학과 김기원 교수 ② 대한상공회의소 기업정책팀 이경상 팀장 ☎ 김미화 / 진행 : 경영권 승계하고 비자금 문제로 지난 2008년 4월 삼성그룹 전략기획실을 해체하고 경영쇄신안을 발표하..

신문잡지 기고 2011.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