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정아씨의 억울함과 우리 사회의 치사함 (1) 신정아씨의 책 <4001>을 독파했다. 한마디로 충격적이다. 첫째로, 본인이 신씨에 대해 갖고 있던 피상적인 인식에 대한 반성이 밀려들었다. 얼마 전 경제문제에 관한 장하준 교수의 피상적인 사고를 비판하는 글을 쓴 적이 있었는데, 나 역시 신씨에 대해선 피상적인 판단을 하고 있었던 셈이다. (다.. 책, 논문, 칼럼 등 소개 2011.03.25
이동걸 전 금융연구원장의 글 오늘 자(2011. 3. 23) 프레시안에 이동걸 전 금융연구원장의 인터뷰가 실려 있습니다. 이동걸 박사는 한국에 몇 안 되는 개혁적 금융전문가 중 한 사람이고, 본인도 개인적으로 아는 사이입니다. 인터뷰 내용이 꽤 유익하네요. 정부에 근무했던 이 박사가 이렇게 자주 글을 써서(아예 블로그를 만들어 계.. 책, 논문, 칼럼 등 소개 2011.03.23
{경제학 포털} 2006년에 출간하고 2009년에 update해서 개정판, 다시 2013년에 재개정판을 낸 것입니다. (저자: 김기원 출판사: 필맥) 새창보기 [경제/경영] 김기원의 경제학 포털 [ 개정판 2판 ] 김기원 지음 |필맥 |2013년 08월 [배송일정 참고로 아래에 이 책에 대한 조선일보와 중앙일보의 초판 서평을 옮겨 놓.. 책, 논문, 칼럼 등 소개 2011.03.19
{재벌개혁은 끝났는가} 2002년 출간한 책입니다. (저자: 김기원 출판사: 한울) 재벌문제에 관해 그동안 쓴 글을 모은 책입니다. 아래에 이 책에 대해 안하대 김진방 교수가 쓴 서평을 첨부합니다. “현정부 재벌개혁 전술 실패” 재벌 개혁이 소강상태에 들어선 지금 현재 상태를 다시 검토하고 미래의 방향을 차분히 모색하는 .. 책, 논문, 칼럼 등 소개 2011.03.19
장하준 교수 재비판 <오마이뉴스> 2011. 2. 18 <오마이뉴스> 2011. 2. 18 장하준 교수 재비판 김기원 (방송통신대 경제학과 교수) 필자는 한 달쯤 전 장하준 교수에게 논쟁을 제기했다. 하지만 유감스럽게도 장교수 본인이 아니라 장교수 책을 출판한 박윤우 사장이 나서더니, 장교수는 나중에 제대로 된 글이 아니고 말로써 자신의 입장을 단편적.. 신문잡지 기고 2011.02.23
한국사회 미래를 말하다 <한겨레신문> 2011. 1. 31. 한겨레신문 2011/ 1/ 31 한국사회 미래를 말하다 3부: 정책을 말하다-경제 ④ 전문가 좌담 황보연 기자 홍종학 진보정권 경제, 관료에 맡겨 자산버블·양극화 해결 못해 김기원 진보진영 무조건 반대 안돼 전략·전술 세워 비판·계승을 정태인 MB정부 4대강·성장 고수 거품 언제든 폭발 가능성 사회(이.. 신문잡지 기고 2011.02.23
장하준 논리의 비판적 해부 <창비 주간논평> 2011. 1. 26 <창비 주간논평> 2011. 1. 26 장하준 논리의 비판적 해부 김기원(방송통신대 경제학과) 장하준 교수의 책『그들이 말하지 않는 23가지』가 선풍적 인기를 끌고 있다. 재미가 있고 문체도 경쾌하다. 그리고 이 책의 내용 중엔 필자 역시 동감하는 부분이 적지 않다. 우선 시장만능주의의 폐해에 대한 지.. 신문잡지 기고 2011.02.23
복지는 공짜가 아니다 <창비 주간논평> 2010. 11. 3. 복지는 공짜가 아니다 김 기 원 (방송대 경제학과 교수) 지난 여름 석 달을 유럽에서 보냈다. 어떤 사회를 제대로 이해하기엔 턱없이 짧은 기간이지만 그래도 나름대로 유럽의 이모저모를 느끼고자 애를 썼다. 몇 권의 책을 읽었고 유럽인들, 거주동포들, 여행객들과도 이야기를 나눠봤다. 그런데 그 .. 신문잡지 기고 2011.02.23
삼성과 학계의 불륜을 끊자 <창비 주간논평> 2010. 6.16 <창비 주간논평> 2010. 6.16 삼성과 학계의 불륜을 끊자 김 기 원 (방송통신대 경제학과 교수) 지방선거가 한나라당의 참패로 끝났다. 숨통이 조금 트이는 느낌이 들기는 한다. 하지만 그렇다고 강부자 경제, 민주주의 후퇴, 남북한관계 악화라는 정책기조가 청산될지는 의문이다. 촛불시위 때 진정으.. 신문잡지 기고 2011.02.23
삼성 이건희 회장 복귀, 어떻게 봐야 하나 (2010. 03. 24. 수) (김미화의 세계는 그리고 우리는, 2010. 03. 24. 수) 삼성 이건희 회장 복귀, 어떻게 봐야 하나 ① 한국방송통신대 경제학과 김기원 교수 ② 대한상공회의소 기업정책팀 이경상 팀장 ☎ 김미화 / 진행 : 경영권 승계하고 비자금 문제로 지난 2008년 4월 삼성그룹 전략기획실을 해체하고 경영쇄신안을 발표하.. 신문잡지 기고 2011.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