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후보 감별법 (한겨레 칼럼) (<한겨레> 2012년 7월 12일자에 실린 칼럼입니다.) 대통령 후보 감별법 김 기 원 (방송통신대 경제학과 교수) 대통령 후보들의 면면이 대부분 드러났다. ‘저녁이 있는 삶’, ‘보통사람이 주인인 나라’, ‘평등국가’, ‘내 꿈이 이루어지는 나라’ 등 멋진 슬로건도 나부끼고 있다. 상.. 신문잡지 기고 2012.07.12
세계적 석학의 말씀? <세계적 석학의 말씀?> 어제(6월 29일) 세계적 철학자로 알려진 슬라예보 지젝이 쌍용차 관련 사망자 분향소에 들렀습니다. 그리하여 대기업의 정리해고에 대해 비판하는 발언을 했고, 이것을 진보신문들이 보도했습니다. 그의 입장은 자본주의를 근본적으로 부정하는 쪽에 가까우므.. 블로그 고유의 글 2012.06.30
주주자본주의냐 총수자본주의냐 (한겨레 칼럼) (<한겨레> 6월 14일자에 실린 칼럼입니다.) 주주자본주의냐 총수자본주의냐 김 기 원 (방송통신대 경제학과 교수) 경제민주화를 둘러싼 논란이 달아오르고 있다. 학계가 재벌개혁 논쟁을 벌이고, 재계가 헌법의 경제민주화 조항에 대해 시비를 걸었다. 그런데 각자 주장을 펼치는 가운.. 신문잡지 기고 2012.06.14
tvN "백지연의 끝장토론" 출연 지난 6월 6일 밤에 tvN "백지연의 끝장 토론" 프로에 출연했습니다. "재벌개혁 대 재벌타협"이라는 제목의 토론으로 본인과 정승일박사가 출연했습니다. 토론이 뜨거웠는데, 다소어려운 내용이라 일반인들이 제대로 이해할 수 있었는지 의문이기는 합니다. 관심 있으면 한번 프로를 보십시.. 신문잡지 기고 2012.06.08
재벌개혁 논쟁 (한겨레 인터뷰 : 장하준 교수 비판) (5월 31일자 <한겨레>에 재벌개혁 문제와 관련한 본인의 전화 인터뷰가 실렸습니다. 이야기한 내용의 절반 정도만 기자가 요약 정리한 것입니다. 장하준 교수 책에 대해선 지난 4월달에 올린 본인의 블로그 글도 참고하십시오. 장교수가 자료를 자의적으로 왜곡한다는 것은 작년 2월에.. 신문잡지 기고 2012.05.31
개혁적 진보는 살아있다 (한겨레 칼럼 5월 17일) <개혁적 진보는 살아있다> (한겨레 2012. 5. 17) 김기원 (방송대 경제학과 교수) 이정희가 망가졌고 통합진보당의 내상이 심각하다. 진보개혁세력 전체도 피멍이 들었다. 통합진보당의 비례대표 경선이 부실과 부정으로 얼룩졌고, 그 뒷수습 과정이 이른바 당권파의 억지와 폭력으로 표.. 신문잡지 기고 2012.05.17
한국의 부실한 엘리트들: 김문수, 이건희, 장하준 <한국의 부실한 엘리트들: 김문수, 이건희, 장하준> 김 기 원 (방송대 경제학과 교수) 총선이 끝났습니다. 그 과정에서 김형태나 문대성 등 허접스런 인물들이 주목을 받은 바 있습니다. 그런데 그들만이 특별하게 문제가 있는 건 아닙니다. 오늘은 요즘 논란을 일으키고 있는, 그들보.. 블로그 고유의 글 2012.04.25
총선 패배와 희망의 싹 (한겨레 칼럼) 총선 패배와 희망의 싹 (<한겨레> 2012년 4월 19일자) 김기원 (방송대 경제학과 교수) 4·11 총선에서 진보개혁세력이 패배했다. 국민대중을 ‘고단함·억울함·불안함’에서 해방시킬 진보개혁입법의 통과는 기대난망이다. 남한판 ‘고난의 행군’이 이어질지도 모르겠다. 진보개혁세.. 신문잡지 기고 2012.04.19
총선 이모저모 (3) : 이정희의원 사태의 여파와 진보신당의 상상력 총선 이모저모 (3): 이정희의원 사태의 여파와 진보신당의 상상력 김 기 원 (방송대 경제학과 교수) B. 이정희의원 사태와 곽교육감 사태 지난 글에서 여론조작 사건이 불거진 그날 밤 이정희 의원이 사퇴하는 게 최선이었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이의원은 결국 최선을 실천하지는 못했으나 .. 블로그 고유의 글 2012.03.28
총선 이모저모 (2) : 이정희의원의 정치적 죽음과 부활 총선 이모저모 (2) : 이정희 의원의 정치적 죽음과 부활 김 기 원 (방송대 경제학과 교수) 이제 4.11 총선 선거운동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습니다. 이에 맞추어 총선과 관련된 두 번째 이야기를 펼쳐볼까 합니다. 오늘의 주제는 이정희의원의 후보직 사퇴 사건입니다. 사퇴와 관련된 이의원.. 블로그 고유의 글 2012.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