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회 김기원학술상 수상 후보자 모집 공고 제4회 ‘김기원 학술상’ 후보자 공모 등록 :2019-05-27 10:42수정 :2019-05-27 20:20 페이스북 트위터 공유 스크랩 프린트 크게 작게 통일경제·재벌·노동 등 한국경제 연구 신진 연구자 대상…10월15일까지 접수 고 김기원 한국방송통신대 교수. 김봉규 기자 bong9@hani.co.kr 대표적인 진보경제학자.. 책, 논문, 칼럼 등 소개 2019.05.26
추억의 글: 민주노동당에 바란다(2004년 4월 23일자) 민주노동당에 바란다 정치판이 바뀌었다. 기존정당과 질적으로 다른 민주노동당이 의회에 진출했다. 민노당의 이런 쾌거는 피맺힌 오랜 민중운동의 성과다. 하지만 다른 정당들의 악수에 따른 반사적 이익의 측면도 없지 않다. 거품이 아닌 진짜 실력은 앞으로 두고 봐야 한다. 그런데 일.. 신문잡지 기고 2019.05.24
김기원을 그리워하는 친구의 사모곡 김기원 2017년 5월 14일 · 김창호 2017년 5월 14일 · macOS 2009년 8월 22일 오후 1시 41분 35초: 사자바위 위에 선 (고)김기원 교수입니다. 그때 둘이서 봉하마을 여기저기 하염없이 돌아다녔습니다. 한반도의 통일 시대를 대비하여 독일에서 를 연구하다가 과로로 너무도 일찍 세상을 떠난 경제학자 김기원! 2017년 5월 14일 오늘 우리가 꿈꾸는 세상으로 가는 첫 걸음을 시작하였다는 소식을 전하러 친구들이 김기원이 잠든 공원을 찾았답니다. 저는 함께 가서 만나 보지 못하였습니다. 유별나게 밝고 맑은 오늘 하루 그리운 친구 김기원을 생각하면서 청도의 깊은 산속에서 해금을 끌어안고 을 연주합니다. 책, 논문, 칼럼 등 소개 2019.05.14
추억의 글(2014.05.07): 미국-EU 자유무역협정을 둘러싼 논란 <미국-EU 자유무역협정을 둘러싼 논란> 세월호 참사로 인해 마음이 어지럽습니다. 언제 마음이 내키면 세월호 사태도 한번 정리해볼까 어쩔까 생각합니다만, 아직은 마음이 내키지 않습니다. 다만 오늘자 Berliner Zeitung 신문에 참고할 만한 칼럼이 실려 소개합니다. 거기서 다루는 문제.. 블로그 고유의 글 2019.05.07
추억의 글(2013.4.22): 노동귀족의 비정상과 한국식 대처주의의 위험성 <노동귀족의 비정상과 한국식 대처주의의 위험성> 오늘자 조선일보에 “현대차 간부들 ‘우리도 생산직만큼 대접해달라’”라는 기사가 실렸습니다. 조선일보는 가끔씩 왜곡보도를 저지르는 언론이긴 하지만, 적어도 이 기사는 그런 종류의 기사는 아닌 것 같습니다. 제가 여기저.. 블로그 고유의 글 2019.04.22
추억의 글(2014년 4월 9일): 정치가와 깡다구 <정치가와 깡다구> 오늘자 중앙일보에 '유로자전거나라' 장백관 사장에 대한 소개가 실렸습니다(아래 링크 참조). 저는 4년쯤 전에 '유로자전거나라'를 이용해 본 적이 있고, 그때 장사장에 관한 재미 있는 이야기를 가이드에게서 들은 바 있습니다. 장사장은 유로자전거를 설립해 한.. 블로그 고유의 글 2019.04.09
추억의 글: 2013년 4월 2일 란코프 교수의 북한 인식 <란코프 교수의 북한 인식> 국민대의 안드레이 란코프 교수는 조선일보에 칼럼을 가끔씩 싣는 우파 학자로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는 북한에 대한 햇볕정책을 지지하는 등, 일반적인 우파와는 다른 관점을 보여 왔습니다. 그가 북한 핵문제 등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인터뷰를 통해 .. 블로그 고유의 글 2019.04.02
하늘에서도 아내를 걱정하고 있을 당신에게(8) 하늘에서도 아내를 걱정하고 있을 당신에게(8) 작년 12월 7일 4주기에 만나고 2개월여 만에 다시 만나러 왔습니다. 4주기 때는 작년 중 가장 추운 날인데도 불구하고, 윤용식선생님, 윤승용박사님, 강춘복사장님, 김재훈사장님 부부, 김창호선생님, 김명호선생님, 이윤봉사장님, 박경재총장.. 책, 논문, 칼럼 등 소개 2019.03.08
신문기사 속 김기원(9): 어떤 정권교체인가(미디어스 17.01.18) [2017.01.18 | 미디어스] 어떤 정권교체인가 윤석규 공감정치연구소 소장 국민들이 정권교체를 열망하고 있다. 대부분의 여론조사에서 정권교체가 이루어질 것이라 답한 비율이 85%에 육박한다. 30, 40대로 좁히면 열 중 아홉이 정권교체를 전망했다. 가히 '묻지마 정권교체'라 할 만하다. 2개.. 책, 논문, 칼럼 등 소개 2019.01.01